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 1인당 연 최대 120만 원 간병비 지원

by 애드월백 현 2025. 3. 20.

 

경기도 간병비 지원

 

경기도가 2025년부터 저소득층 노인의 간병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65세 이상 노인은 연 최대 120만 원의 간병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병비 부담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이 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신청 방법과 대상은 누구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간병비 부담, 얼마나 심각한가?

최근 몇 년 사이 간병비가 크게 상승하며, 많은 국민이 경제적 부담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 2018년 하루 평균 간병비 8만 2,000원 → 2023년 12만 7,000원 (약 50% 증가)
  • 국내 연간 사적 간병비 지출 규모 2008년 3조6,550억 원 → 2018년 8조240억 원 (10년간 2.2배 증가)
  •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조사 결과, 간병인을 이용한 응답자 중 96%가 간병비 부담을 느낀다고 답변

간병비 부담이 증가하면서 ‘간병파산’, ‘간병지옥’ 등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간병비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2.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란?

경기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역지자체 최초로 저소득 노인을 위한 간병비 지원 사업을 추진합니다.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는 2025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시행되며,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연 최대 120만 원의 간병비를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 경기도 주민등록을 둔 저소득층 노인
  • 상해·질병 등으로 인해 병원급 의료기관 이상에 입원하여 간병 서비스를 받은 자

지원 내용

  • 연 최대 120만 원 지원
  • 6인 공동병실 기준 1일 2만 원씩 최대 60일분 지원
  •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초로 환자 본인에게 직접 간병비 지급

지원 절차

  1. 대상자가 간병업체(간병인)에게 간병비를 먼저 지급
  2. 사후 심사를 거쳐 경기도에서 본인에게 지원금 지급 (각 시·군 담당)

3. 향후 계획 및 기대 효과

경기도는 2025년 사업 시행을 목표로 20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합니다.

  • 예산 확보 및 31개 시·군 수요 조사 진행
  • 10월 중 간병서비스 발전을 위한 정책 토론회 개최 예정
  • 간병인 교육 및 서비스 질 향상 방안 논의

기대 효과

  • 저소득층 노인의 간병비 부담 완화
  • 간병 서비스 이용률 증가 → 보다 안정적인 간병 환경 조성
  • 국가 간병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적 토대 구축

간병비용 상승 추계

결론: 저소득 노인을 위한 새로운 간병비 지원 정책

경기도는 2025년부터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를 통해 저소득층 65세 이상 노인에게 연 최대 120만 원의 간병비를 지원합니다.

이 사업은 광역지자체 최초로 환자 본인에게 직접 간병비를 지원하는 정책으로, 간병비 부담을 크게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정책 발전과 함께, 보다 많은 어르신이 안정적인 간병 서비스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