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청년들의 주택마련 꿈을 위한 새로운 선택

by 애드월백 현 2025. 4. 23.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청년층을 위한 재형기능을 강화한 특별한 청약통장입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주요 특징과 혜택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주택드림

가입 대상: 청년층을 위한 맞춤 설계

 

  • 연령 조건: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병역 이행자는 병역 이행기간(최대 6년)을 현재 연령에서 차감하여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경우 가입 가능
  • 소득 조건: 직전년도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인 근로, 사업, 기타소득자
    •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당해 급여명세표로 연소득 환산 후 가입 가능
    • 비과세 소득만 있는 군인(현역병, 사회복무요원 등)도 가입 가능
    • 전역자 중 직전 과세기간에 복무한 기간이 1일 이상 포함된 경우도 가입 가능
  • 주택 조건: 무주택자만 가입 가능

높은 이자율로 저축 효과 극대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만들기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의 가장 큰 장점은 일반 주택청약종합저축보다 높은 이자율입니다.

구분1개월 이내1개월 초과~1년 미만1년 이상~2년 미만2년 이상~10년 이내10년 초과 시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 무이자 연 2.3% 연 2.8% 연 3.1% 연 3.1%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무이자 연 3.7% 연 4.2% 연 4.5% 연 3.1%
  • 납입원금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적용 (전환신규 시 전환원금 제외)
  • 가입일로부터 2년 이상인 경우, 10년 이내 무주택 기간에 한해 우대금리 적용
  • 청약당첨으로 해지 시에는 2년 미만이어도 우대금리 적용

비과세 혜택으로 세금 부담 줄이기

  • 2년 이상 가입 시 이자소득 합계액 5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
  • 원금은 연 600만원 한도로 납입 가능
  • 비과세 혜택 적용 조건:
    • 2025년 12월 31일까지 가입
    • 가입 당시 주택을 소유하지 않는 세대의 세대주 또는 세대주의 배우자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 3천6백만원 이하 근로소득자 또는 종합소득금액 2천6백만원 이하인 자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비과세 제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이자소득 등의 합계액이 2천만원 초과 시)

계약금 인출 기능으로 주택 구매 지원

  • 청약당첨 시 계약금 납부 목적으로 1회에 한해 일부 금액 인출 가능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되기 전 당첨된 경우는 인출 불가

전환신규 안내

  • 기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는 자동으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
  •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도 가입요건 충족 시 전환 가능 (청약당첨계좌 제외)
  • 전환신규 시 유의사항:
    • 우대금리와 청약회차는 전환원금을 제외한 입금분부터 적용
    • 약정납입일은 전환신규일로 변경
    • 기존 통장의 청약순위 관련 가입기간과 납입회차는 인정
    • 전환신규월에는 월 납입금 추가 납부 불가

가입 시 필요 서류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1344

  • 소득증빙서류: 소득확인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등
  • 병적증명서 또는 군복무 확인서 (해당자)
  • 각서 (양식 제공)

청년 주택 마련을 위한 최적의 선택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높은 이자율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청년층의 주택 마련을 적극 지원합니다. 특히 무주택 청년들에게 주택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2025년을 맞아 주택 마련을 계획하고 계신 청년이라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통해 더 높은 수익률과 다양한 혜택을 누려보세요. 내 집 마련의 꿈을 향한 첫 걸음,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과 함께 시작하세요.

 

청년 주택드림 업무 취급 은행

 

반응형